H116533 imagemain6533
드러난 문제만을 해결하려는 방식보다는 복잡한 현실에서 사안의 본질이 무엇인지 명확하게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조천호. 파란하늘 빨간지구
IMAGE6533
1.5℃, ”“ 탄소중립 ” 등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사회가 나아갈 방향성을 제시해 주는 것은 무엇일까요?
그동안 기후위기의 대안을 찾기 위한 수많은 국제 담론은 스턴 보고서(Stern Review)와 IPCC 평가보고서 등의
연구 결과에 기반했습니다.

우리가 처한 상황을 냉철히 분석하고 더 나은 미래로 가기 위한 키워드를 제공해 주는 통찰력은 하나의 현상을 오랜 시간, 끈기 있게 바라본
연구자의 탐구 에서 비롯됩니다.

기후위기가 그 어느 때보다도 심각한 지금, 우리는 나아갈 방향을 찾기 위해 연구를 하려고 합니다. 이를 위해 24주 동안 자신의 문제의식에 깊게 파고들어 연구질문으로 발전시키는 것부터 시작합니다.
IMAGE6532
번외. 어떻게 문제를 연구로 해결할까?
연구원정 학습가이드 중 일부 < 문제해결형 연구란?>
“기후위기는 인류가 해결해야 할 거대한 팀 프로젝트다” 그렇기 때문에 Free Rider가 되지 않기 위해서라도 우리는 무엇이 문제인지 공부해야죠!
연구원정 1주 차 세미나에서 연구원정 Beta 백00님
IMAGE6532
훈련도 실전처럼! 연구자들이 논문을 작성할 때 실제로 사용하는 연구계획 과정을 알차게 담아, 연구에 꼭!
필요한 내용들로 커리큘럼을 설계
했습니다.
KakaoTalk202306171122598292116532
언제나, 어디서나
내가 원하는 주제로
모든 활동은 100% 온라인 으로 진행되며, 어떤 주제라도 연구자의 진심을 연구로 발전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KakaoTalk202306171122598292226532
함께, 멀리 같은 문제를 고민하는 동료들 과 함께 토론하고 학습하면서, 기후위기를 해결하는 연구를
포기하지 않고 지속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KakaoTalk202306171122598292316532
IMAGE6532
◎ 체계적인 연구질문 세우는 방법 | 내가 가진 문제의식을 연구질문으로 나타내는 방법을 배웁니다.
◎ 연구동향을 파악하는 방법 | 관련 문헌을 통해 관심분야의 연구동향을 파악합니다.
◎ 선행연구를 찾는 방법 | 연구생태계를 파악하고 선행연구를 탐색합니다.
◎ 핵심 논문을 분석하는 방법 | 연구주제의 핵심 논문을 통해 논문의 구조와 문법을 배웁니다.
◎ 연구계획서를 작성하는 방법 | 나의 문제의식과 연구의 실현 가능성을 살린 작성법을 배웁니다.
Rectangle1766532 연구원정 24주 커리큘럼
IMAGE2416532
IMAGEREV18116532
매주
미션을 수행하고,
IMAGE16532 연구동향 마인드맵 (B 대원, 3주 차 과제 일부)
Rectangle1736532 개인 미션 수행을 위해 매주 학습 영상과 학습 가이드가 제공되며, 논문 리뷰DB (기후위기 테마) 등의 연구 툴킷에 대한 접근 권한도 부여됩니다.
세미나를 통해
서로의 미션을 공유하면서
IMAGE16216532 IMAGE16226532
<연구원정 : 기후위기> 세미나 일부 (ZOOM)
Rectangle1746532 세미나는 서로가 일주일 동안 수행한 미션을 발표하고 서로에게 피드백을 주는 시간입니다. 또한, 세미나에서 즉각적인 코치리뷰도 이루어집니다.
나만의 연구계획서를
완성합니다!
IMAGE10116532 IMAGE10216532 Rectangle1456532
연구원정 기후위기 1기 B 대원 <최종보고회 일부>
Rectangle1756532 연구계획서 작성 완료 시, 신진연구자와의 1:1 멘토링을 진행합니다. 멘토링 내용을 토대로 보완하여 최종발표까지 마치면 연구원정을 무사히 수료하게 됩니다!
IMAGEREV1716532
매주 세미나를 통해 받을 수 있는 코치리뷰와 피어코멘트뿐만 아니라 기후위기 연구자와의 1:1 멘토링까지!
여러분이 연구계획서를 완성할 수 있도록 끝까지 도와드립니다.
Rectangle1366532 Rectangle1356532 기후위기 연구자와 함께하는 1:1 멘토링
IMAGE6531
Rectangle1336531 고인환
정치학 박사
기후환경 정책 및 정치
재생에너지 보급 및 갈등
국제환경협력
기후클럽
image96531
Rectangle1346531 김다영
행정학 박사수료
기후위기
플랫폼
음식물류폐기물
노동
IMAGE6531
Rectangle1336531 김정현
교육학 박사과정
기후정의 운동
교육의 생태적 전환
마을교육공동체
성인학습
IMAGE6531
Rectangle1336531 김지은
영미어문화학과
박사수료
젠더/페미니즘
생태
인류세
신유물론
IMAGE6531
Rectangle1336532 박정현
환경커뮤니케이션
텍스트분석
도시계획학과
박사수료
IMAGE6532
Rectangle1336532 손정아
멸종
해양인문학
전시디자인
문학 박사
IMAGE6532
Rectangle1336532 이경민
기후정책
에너지정책
에너지 및 환경정책학
박사수료
기후위기 연구자와 함께
내가 쓴 연구계획서를 검토해 봅시다!
기한 안에 연구계획서 초안 제출 시 제공되는 혜택입니다.
Rectangle1686531 연구원정 대원 후기
image306531
대원들이 탐색 중인 연구질문 🪐 연구원정 활동을 통해 이런 연구질문들이 도출되었어요!
Planet A. 신재생에너지 정책에 대한 한국인의 수용성이 낮은 이유는 무엇일까?
Planet B. 재해회복력이 낮은 지역에서 지역소멸을 일으키는 영향요인은 무엇일까?
Planet C. 공동체 에너지를 통한 지방소멸의 해결 및 지속가능한 공동체 형성이 가능할까?
Planet D. 기후용어의 번역 정확성을 높이면 기후위기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증가할까?
C916531
24 Weeks
Rectangle1786531 Rectangle1776531 완성된 연구계획서 그리고 내 연구의 시작
Rectangle1796531 <연구원정 : 기후위기> 1기의 연구계획서 발표회 영상입니다. Rectangle1806531
unsplashuj3hvdfQujI6533 Rectangle1816531
Rectangle1686531 연구원정은 끝이 아닌 시작입니다
연구계획서를 작성하고 나면, 후속 프로그램인 SPREAD와 REACH에서 논문을 작성하고,
나의 연구를 실제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LAUNCH
: 연구를 위한 준비
LAUNCH TRACK
실습형 연구훈련 프로그램 6 TRACKS

연구원정
주제별 문제해결형 연구자 부트캠프
IMAGEREV2216531
Ellipse96531 1
SPREAD
: 문제해결형 연구
2024년 중 런칭 예정
LAUNCH 과정을 통해 계획된 연구과정을 실제 수행하는 데에 필요한 이론과 방법론, 논문 작성법 에 대해 훈련합니다.
자기 주제에 대한 전문지식을 연구공동체 안에서 함께 습득하고, 연구에 필요한 노하우와 방법론을 배웁니다.
서로의 연구과정을 공유하고 협력하면서 개인의 연구역량을 훈련하고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를 함께 만들어 갑니다.
Ellipse106531 2
REACH
: 연구의 확산
2024년 중 런칭 예정
수행한 연구를 통해 창조된 지식을 실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식으로 가공하여 공유합니다.
논문뿐만 아니라 기사, 정책보고서, 사업계획서 등으로 발전시켜서
문제해결이 필요한 사회영역에 지식을 공급 합니다.
더 나아가 생산된 연구물의 가치에 합당한 대가를 연구자가 얻을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고 적재적소에 연구물이 적용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합니다.
Ellipse116531 3
Ellipse126531 +
<연구원정 Alumni> 커뮤니티 한 사람의 열 걸음보다 열 사람의 한 걸음으로
Rectangle1686531 연구원정 기후위기 5기 모집합니다
IMAGEREV2416531
IMAGE2516531
기후위기 연구자와의 1:1 멘토링 23주차 연구계획서 초안 완성 시 기회 제공
IMAGE2626531 수료 시 영상 및 교안 무제한 접근권 제공
IMAGE2726539
순환패스 1회권(5만원 상당) 포함 연구원정에서 보완하고 싶은 단계를 재훈련할 수 있는 순환패스 1회권을 드립니다. 자세한 설명은 오리엔테이션에서 안내드릴 예정입니다!
이번 기수 참여가 어렵다면?
Rectangle1686538 SCHEDULE
10월 5일(목) 밤 12시 10월 6일(금) 10월 6일(금) ~ 11일(수)
10월 11일(수) 오후 7시
2월 7일(수)
3월 25일(월) ~ 3월 31일(일)
4월 3일(수) 오후 7시
Rectangle1996804
Ellipse16534
Ellipse26534
Rectangle206534
Ellipse46534
Ellipse36534
Rectangle226534
Ellipse66534
신청 마감 오티 메일 발송 연구원정Station 입장
Rectangle1476537 연구원정 시작
1주차 세미나
추석 휴강
연구계획서 검토 1:1 멘토링
연구계획서 발표회
Rectangle1686536 FAQ
연구에 대한 배경이 없어도 수강할 수 있나요?
당연히 가능합니다 . 연구원정 프로그램은 연구를 전혀 접해보지 않으신 분들도 자신의 문제의식을 연구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프로그램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실제로 학부생부터 중년층까지 다양한 배경의 대원들이 프로그램을 수료하셨습니다. 하지만 그것이 결코 연구가 쉽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연구를 해 나가기 위해서는 그만큼의 의지와 노력이 필요합니다.
연구원정과 LAUNCH 패키지의 차이점은?
연구원정과 LAUNCH 패키지의 가장 큰 차이점은 공통된 문제의 영역을 고민하는가 입니다. 연구원정은 주제 중심으로 모인 사람들이 24주 동안 자신의 문제의식으로 부터 연구계획서를 만들어가는 과정이며, LAUNCH 패키지의 경우 자신의 문제의식을 발전시키는 것에 중심이 맞춰진 트랙별로 구성된 실습형 연구훈련프로그램입니다.
현재, 연구원정은 기후위기 / 공공문제 / 교육문제 영역으로 모집하고 있습니다.
그럼, 저는 어떤 걸 들어야 하나요? 연구하고자 하는 분야 또는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확실하다면 자신의 문제의식에 맞는 연구원정 프로그램 참여를 추천해 드리고, 특정 연구주제에 집중하기보다 전반적으로 연구계획 과정에 대한 기초 훈련을 받고 싶으시다면 LAUNCH Package를 추천드립니다.
일주일에 어느 정도의 시간을 써야 하나요?
연구원정 프로그램은 연구계획 과정의 프로세스를 배우는 과정입니다. 각 단계마다 시간을 많이 들이면 많이 들일수록 더 구체화 되고 정교한 연구계획을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소한 매일 1-2시간 (세미나 시간 제외) 정도의 시간을 투자 하셔야 과정을 충분히 학습하실 수 있습니다.
기수당 어느 정도의 인원으로 진행되나요?
기수별 인원의 제한은 없습니다. 주차별 영상과 미션은 온라인으로 제공되고 미션은 개별적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기수별 인원에 상관없이 필요한 활동들을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비대면 세미나의 경우, 원활한 운영을 위해 5명 내외 의 조를 편성하여 조별로 과제공유와 피드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진행될 예정입니다.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IMAGEREV316533
H115713
imagemain5713
드러난 문제만을 해결하려는 방식보다는
복잡한 현실에서 사안의 본질이 무엇인지
명확하게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조천호. 파란하늘 빨간지구
IMAGE5713
1.5℃, ” “ 탄소중립 ” 등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사회가 나아갈 방향성을 제시해 주는 것은 무엇일까요?

그동안 기후위기의 대안을 찾기 위한 수많은 국제 담론은 스턴 보고서(Stern Review)와 IPCC 평가보고서 등의
연구 결과에 기반했습니다.

우리가 처한 상황을 냉철히 분석하고 더 나은 미래로 가기 위한 키워드를 제공해 주는 통찰력은 하나의 현상을 오랜 시간, 끈기 있게 바라본
연구자의 탐구 에서 비롯됩니다.

기후위기가 그 어느 때보다도 심각한 지금, 우리는 나아갈 방향을 찾기 위해 연구를 하려고 합니다. 이를 위해 24주 동안 자신의 문제의식에 깊게 파고들어 연구질문으로 발전시키는 것부터 시작합니다.
IMAGE5713
번외. 어떻게 문제를 연구로 해결할까?
연구원정 학습가이드 중 일부 < 문제해결형 연구란?>
“기후위기는 인류가 해결해야 할
거대한 팀 프로젝트다”
그렇기 때문에 Free Rider가 되지 않기 위해서라도
우리는 무엇이 문제인지 공부해야죠!
연구원정 1주 차 세미나에서
연구원정 Beta 백00님
IMAGE5712
훈련도 실전처럼! 연구자들이 논문을 작성할 때 실제로 사용하는 연구계획 과정을 알차게 담아, 연구에 꼭!
필요한 내용들로 커리큘럼을 설계
했습니다.
KakaoTalk202306171122598292115712
언제나, 어디서나
내가 원하는 주제로
모든 활동은 100% 온라인 으로 진행되며,
어떤 주제라도 연구자의 진심을 연구로
발전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KakaoTalk202306171122598292225712
함께, 멀리 같은 문제를 고민하는 동료들 과 함께 토론하고 학습하면서, 기후위기를 해결하는 연구를
포기하지 않고 지속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KakaoTalk202306171122598292315712
IMAGE5712
KakaoTalk202306171122598290715712
체계적인 연구질문 세우는 방법 내가 가진 문제의식을 연구질문으로 나타내는 방법을 배웁니다.
KakaoTalk202306171122598290415712
연구동향을 파악하는 방법 관련 문헌을 통해 관심분야의 연구동향을 파악합니다.
IMAGE1115712
선행연구를 찾는 방법 연구생태계를 파악하고 선행연구를 탐색합니다.
KakaoTalk202306171122598290615712
핵심 논문을 분석하는 방법 연구주제의 핵심 논문을 통해 논문의 구조와 문법을 배웁니다.
KakaoTalk202306171122598290815712
연구계획서를 작성하는 방법 나의 문제의식과 연구의 실현 가능성을 살린 작성법을 배웁니다.
▼ 연구원정 24주 커리큘럼
IMAGE15712
참고. 파트가 끝날 때마다 중간발표회를 진행합니다.
IMAGEREV18115712
매주 미션을 수행하고
IMAGE15712 연구동향 마인드맵 (B 대원, 3주 차 과제 일부)
Rectangle1695713 개인 미션 수행을 위해 매주 학습 영상과 학습 가이드가 제공되며, 논문 리뷰DB (기후위기 테마) 등의 연구 툴킷에 대한 접근 권한도 부여됩니다.
매주 세미나를 통해
서로의 미션을 공유하면서
IMAGE16215712 IMAGE16225712
<연구원정 : 기후위기> 세미나 일부 (ZOOM)
나만의 연구계획서를
완성합니다!
IMAGE10115712 Rectangle1455712 IMAGE10215712
연구원정 기후위기 1기 B 대원 <최종보고회 일부>
IMAGEREV1715712
KakaoTalk202306171122598291115712 코치리뷰와피어코멘트
매주 세미나를 통해 받는 코치리뷰와 피어코멘트
연구계획서 완성 시 매칭되는 1:1 멘토링까지!
Rectangle1355712 기후위기 연구자와의 1:1 멘토링
IMAGE5711
Rectangle1335711 고인환
정치학 박사 기후환경 정책 및 정치
재생에너지 보급 및 갈등
국제환경협력
기후클럽
IMAGE5711
Rectangle1335711 김정현
교육학 박사과정 기후정의 운동
교육의 생태적 전환
마을교육공동체
성인학습
IMAGE5711
Rectangle1335711 박정현
도시계획학
박사수료
환경커뮤니케이션
텍스트분석
IMAGE5712
Rectangle1335712 이경민
에너지 및
환경정책학
박사수료
기후정책
에너지정책
image95711
Rectangle1345711 김다영
행정학 박사수료 기후위기
플랫폼
음식물류폐기물
노동
IMAGE5711
Rectangle1335711 김지은
영미어문화학
박사수료
젠더/페미니즘
생태
인류세
신유물론
IMAGE5711
Rectangle1335711 손정아
문학 박사 멸종
해양인문학
전시디자인
Ellipse85712
Maskgroup15825
Rectangle1335712 Coming Soon
기후위기 연구자와 함께
내가 쓴 연구계획서를 검토해봅시다!
기한 안에 연구계획서 초안 제출 시 제공되는 혜택입니다.
Rectangle1725714
IMAGEREV2015711
Rectangle1705714 <연구원정 : 기후위기> 1기의 연구계획서 발표회 영상입니다. Rectangle1715714
대원들이 탐색 중인 연구질문 🪐 연구원정 활동을 통해 이런 연구질문들이 도출되었어요!
Planet A. 신재생에너지 정책에 대한 한국인의 수용성이 낮은 이유는 무엇일까?
Planet B. 재해회복력이 낮은 지역에서 지역소멸을 일으키는 영향요인은 무엇일까?
Planet C. 공동체 에너지를 통한 지방소멸의 해결 및 지속가능한 공동체 형성이 가능할까?
Planet D. 기후용어의 번역 정확성을 높이면 기후위기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증가할까?
Rectangle1685711 연구원정 대원 후기
I915711
Rectangle1635711 연구원정 기후위기 5기
모집합니다
IMAGEREV2415711
IMAGE2515711
기후위기 연구자와의 1:1 멘토링 23주차 연구계획서 초안 완성 시 기회 제공
IMAGE2625711 수료 시 영상 및 교안 무제한 접근권 제공
IMAGE2725711
순환패스 1회권(5만원 상당) 포함 연구원정에서 보완하고 싶은 단계를 재훈련할 수 있는 순환패스 1회권을 드립니다. 자세한 설명은 오리엔테이션에서 안내드릴 예정입니다!
이번 기수 참여가 어렵다면?
IMAGEREV2815711
10월 5일(목) 밤 12시 10월 6일(금) 10월 6일(금) ~ 11일(수) 10월 11일(수)
오후 7시
2월 7일(수) 3월 25일(월) ~
3월 31일(일)
4월 3일(수) 오후 7시
Rectangle1735714 Ellipse25719 Rectangle205719 Ellipse35719 Ellipse65719 Ellipse15719 Ellipse45719 Rectangle225711
신청 마감 오티 메일 발송 연구원정Station 입장 연구원정 시작
1주 차 세미나
추석 휴강 연구계획서 검토
1:1 멘토링
연구계획서 발표회
IMAGEREV2915719
연구에 대한 배경이 없어도 수강할 수 있나요?
당연히 가능합니다 . 연구원정 프로그램은 연구를 전혀 접해보지 않으신 분들도 자신의 문제의식을 연구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프로그램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실제로 학부생부터 중년층까지 다양한 배경의 대원들이 프로그램을 수료하셨습니다. 하지만 그것이 결코 연구가 쉽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연구를 해 나가기 위해서는 그만큼의 의지와 노력이 필요합니다.
연구원정과 LAUNCH 패키지의 차이점은?
연구원정과 LAUNCH 패키지의 가장 큰 차이점은 공통된 문제의 영역을 고민하는가 입니다. 연구원정은 주제 중심으로 모인 사람들이 24주 동안 자신의 문제의식으로 부터 연구계획서를 만들어가는 과정이며, LAUNCH 패키지의 경우 자신의 문제의식을 발전시키는 것에 중심이 맞춰진 트랙별로 구성된 실습형 연구훈련프로그램입니다.
현재, 연구원정은 기후위기 / 공공문제 / 교육문제 영역으로 모집하고 있습니다.
그럼, 저는 어떤 걸 들어야 하나요? 연구하고자 하는 분야 또는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확실하다면 자신의 문제의식에 맞는 연구원정 프로그램 참여를 추천해 드리고, 특정 연구주제에 집중하기보다 전반적으로 연구계획 과정에 대한 기초 훈련을 받고 싶으시다면 LAUNCH Package를 추천드립니다.
일주일에 어느 정도의 시간을 써야 하나요?
연구원정 프로그램은 연구계획 과정의 프로세스를 배우는 과정입니다. 각 단계마다 시간을 많이 들이면 많이 들일수록 더 구체화되고 정교한 연구계획을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소한 매일 1-2시간 (세미나 시간 제외) 정도의 시간을 투자 하셔야 과정을 충분히 학습하실 수 있습니다.
기수당 어느 정도의 인원으로 진행되나요?
기수별 인원의 제한은 없습니다. 주차별 영상과 미션은 온라인으로 제공되고 미션은 개별적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기수별 인원에 상관없이 필요한 활동들을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비대면 세미나의 경우, 원활한 운영을 위해 5명 내외 의 조를 편성하여 조별로 과제공유와 피드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진행될 예정입니다.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IMAGEREV315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