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원들이 탐색 중인 연구질문 🪐 연구원정 활동을 통해 이런 연구질문들이 도출되었어요!
Planet 17.
지역의 경제 수준이나 평균 연령은 온열질환자 수와 연관이 있을까? (기후위기 2기 S 대원) 연구과정 구경하기
Planet 16.
온실가스 감축에는 정부의 강제성과 개인의 자발성 중 어느 것이 더 효과적일까? (기후위기 2기 K 대원) 연구과정 구경하기
Planet 15.
기후대응 도시계획이 탄소중립과 종 다양성 확보라는 명목 아래 새로운 불평등을 만들고 있지는 않을까? (기후위기 2기 J 대원) 연구과정 구경하기
Planet 14.
기후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건축 방법으로 흙건축은 어떤 장점을 가질까? (기후위기 2기 L 대원) 연구과정 구경하기
Planet 13.
지구온난화로 인한 ENSO의 변동은 우리나라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기후위기 2기 L 대원) 연구과정 구경하기
Planet 12.
미술기관에도 ESG 경영 혹은 환경 보호를 위한 규제 사항이 필요하지 않을까? (기후위기 2기 P 대원) 연구과정 구경하기
Planet 11.
종 보전에 대한 뚜렷한 대안의 부재를 영상 매체를 통해 대중에게 어떻게 전달할 수 있을까? (기후위기 2기 K 대원) 연구과정 구경하기
Planet 10.
기업이 환경 대응을 제대로 못하고 있는 이유는 환경 데이터 산출이 어렵기 때문일까? (기후위기 2기 K 대원) 연구과정 구경하기
Planet 09.
원자력 발전 없이는 탄소중립이 불가능할까? (기후위기 1기 T 대원) 연구과정 구경하기
Planet 08.
공장식 축산으로 인해 동물들의 면역력 약화가 감염에 대한 노출을 증가시키지 않을까? (기후위기 1기 K 대원) 연구과정 구경하기
Planet 07.
기후용어의 번역 정확성을 높이면 기후위기에 대한 대중의 이해와 관심이 증가할까? (기후위기 1기 Y 대원) 연구과정 구경하기
Planet 06.
공동체 에너지를 통한 지방소멸의 해결 및 지속가능한 공동체 형성이 가능할까? (기후위기 1기 L 대원) 연구과정 구경하기
Planet 05.
재해회복력이 낮은 지역에서 지역소멸을 일으키는 영향요인은 무엇일까? (기후위기 1기 B 대원) 연구과정 구경하기
Planet 04.
신재생에너지 정책에 대한 한국인의 수용성이 낮은 이유는 무엇일까? (기후위기 1기 J 대원) 연구과정 구경하기
Planet 03.
지방의 가뭄 예보 시스템의 부재 및 기능 오작동으로 인해 가뭄의 피해 규모가 증가하지 않을까? (기후위기 BETA S 대원)
Planet 02.
미디어에 노출되는 환경 오남용 장면이 콘텐츠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와 더 나아가 제작사, 국가에 대한 실망으로 연결되지 않을까? (기후위기 BETA B 대원)
Planet 01.
가덕도 신공항 건설 국채사업과 그로 인한 부산 서구 인프라 사업은 에코사이드가 되지 않을까? (기후위기 BETA K 대원)
nasaYj1M5riCKk4unsplash1110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