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ioth Series

나이오트 시리즈 22
프로필 이미지
관리자
2023-03-08
조회 157

오늘의 기사

설악산 케이블카 사업 조건부 허가

https://newneek.co/post/2OUqV8/



설악산 오색 케이블카 설치 조건부 허가"라는 정부의 최근 결정에 사람들의 반응이 갈리고 있습니다.


일부는 40년 넘게 노력해온 사업이 드디어 아름다운 결실을 본 것에 대해 기뻐했고, 일부는 멸종위기 동식물의 서식지인 설악산의 생태계가 이번 사업을 통해 심각하게 훼손될 것이라고 분노했습니다.


설악산을 포함한 지리산, 북한산 등 국립공원의 케이블카 설치 갈등은 정말 오랫동안 이어져 왔습니다.


국립공원에 케이블카를 설치하는 사업은 처음에는 국립공원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안되었습니다.


2007년 1월 1일, 정부가 국립공원 입장료 폐지 정책을 시행하자 탐방객의 수가 급격하게 늘어졌고, 이로 인한 국립공원 훼손에 대한 우려가 증가했습니다.


따라서 정부는 케이블카의 설치를 통해 탐방로를 다양화하여 국립공원 훼손을 방지하는 동시에, 이동이 불편한 사회적 약자들에게도 국립공원을 누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사업을 제안한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케이블카를 설치하는 과정은 불가피하게 많은 환경 훼손과 야생동물 서식지 파괴를 불러일으킵니다. 특히 오색 케이블카 설치 예정 지역인 남설악 지구는 현재 멸종위기 1급 야생동물로 지정된 산양 38마리의 주 서식지일 뿐만 아니라 식생보전 1등급인 분비나무의 분포지입니다.


이렇듯 설악산 케이블카 설치 사업은 복잡한 이해관계와 갈등 구조의 중심에 있습니다.


어떤 주체가, 어떤 이유로 설악산 케이블카 설치 사업을 지지 또는 반대하는지, 그리고 이들 간의 갈등 구조는 시간이 지나면서 어떻게 변화했는지 궁금하신 분들에게는 

둘러싼 공공갈등의 재해석: 옹호연합모형과 갈등주기모형을 통해 본 국립공원 케이블카 설치 사업 갈등을 읽어보시는 걸 추천해드리겠습니다.

논문 보러가기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9289624 

---


연구산악대 입장하기 : https://tally.so/r/3q5V62



프로필 이미지
관리자
2023-03-08
조회 38

오늘의 기사

지속가능한 패션: ‘웰빙 의류’가 필요한 이유

https://www.bbc.com/korean/features-63025634 



기후위기 담론에서 자주 등장하는 이야기는 바로 패션 산업의 탄소발자국입니다. 

유엔(UN)에 따르면 패션 산업은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8~10%를 차지한다고 합니다. 상시로 바뀌는 트렌드와 이에 맞추어 새로운 옷을 대량으로 생산하고 폐기하는 현 패션 산업의 문화를 “패스트 패션”이라고 합니다. 작년 초부터 9월까지 패션 기업 “자라”와 “H&M”이 출시한 새로운 스타일만 해도 약 1만 1000종이었다고 합니다.


이러한 산업 구조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여러 패스트 패션 기업들도 환경 캠페인에 참여하기도 하는데요, 여기서 중요한 점은 이러한 노력이 실제로는 환경에 도움이 되지 않는 브랜드의 마케팅 전략으로만 작용하는지 아닌지를 구별하는 것입니다. 


이처럼 패션산업의 “그린워싱”에 관해 더 알아보고 싶으신 분들에게는 패션산업의 그린워싱(Greenwashing)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제안을 추천해드립니다. 

논문 리뷰 보러가기 : https://www.notion.so/naioth/Greenwashing-66d7fc14d2bd4d278880c7eef0bec80b?pvs=4

이 논문에서는 패션산업 내 그린워싱의 사례를 분석함과 동시에 이를 근절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와는 반대로 패션 기업들이 실제로 환경을 포함한 여러 윤리적 가치를 보존하는 사례도 있는데요, 특히 패션과 뷰티의 소비문화에서 비거니즘의 확산이 일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변화하는 소비자의 니즈에 맞춰 동물권 및 동물복지와 친환경 테마를 추구하는 기업이 증가하는 현상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에게는 패션, 뷰티 소비에서 비거니즘의 확산 - 의미 네트워크 분석을 추천해드리겠습니다. 

논문 리뷰 보러가기 : https://www.notion.so/naioth/735ceebb2778421799aef396643e7d65?pvs=4

이 논문에서는 패션과 뷰티 분야에서 비거니즘에 관한 과거와 현재의 인식 변화를 비교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


연구산악대 입장하기 : https://tally.so/r/3q5V62

프로필 이미지
관리자
2023-02-21
조회 24

오늘의 기사

남극 해빙 면적, 관측 이래 최저치 기록

https://www.bbc.com/korean/international-64592717 



올해 1월, 남극의 여름철 해빙 면적은 위성 관측이 시작된 이래 최저치인 191만 km2를 기록했습니다.


사실 이번 기록은 2017년과 2022년에 이어 지난 10년 동안 남극의 해빙 면적이 최저치를 경신한 3번째 사례입니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은 복잡한 작용의 결과이겠지만 대표적으로 남극반도의 온도 상승남반구 극진동(SAM, Southern Annular Mode)을 들 수 있습니다.


우선 첫째로, 올해 여름에는 남극반도(남극에서 가장 북쪽으로 뻗은 지역)의 동쪽과 서쪽 지역이 비정상적으로 높은 기온을 경험했습니다. 평균보다 무려 1.5도씨가 높았던 것이 남극의 해빙 유실을 가속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또한 남반구 극진동(SAM)은 남극 및 남반구의 기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기후 변동 요인입니다. SAM은 총 세 가지 상태(양의 상태, 음의 상태 그리고 중립 상태)가 있으며 주로 몇 주에서 몇 달 안에 상태가 양에서 음으로 진동합니다. 현재 SAM은 강한 양의 상태이기에 남극대륙을 둘러싼 서풍을 강화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해빙이 부서져 수온이 더 따뜻한 북쪽 바다로 밀려지게 되면 해빙은 결국 녹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남극 해빙이 이례적으로 많이 녹게 되었을 가능성 또한 제기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동안 남극의 해빙은 감소한 것만은 아닙니다. 오히려 오랜 기간에 걸쳐 해빙 면적이 증가한 기록도 있습니다. 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싶으신 분들에게는 Antarctic sea-ice expansion and Southern Ocean cooling linked to tropical variability를 추천해드리겠습니다. 

논문 리뷰 보러가기 : https://www.notion.so/naioth/cebec58303fd4712b1a20fa10c4aa544?pvs=4

이 논문에서는 남극 해빙 면적에 영향을 끼치는 다양한 자연 요인들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극지역의 해빙이 녹게 되면 전 세계의 평균 해수면이 상승하게 됩니다. 즉, 기후변화, 극지역 해빙 감소, 그리고 해수면 상승은 모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해수면 상승의 역사와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기록을 보고 싶은 분들에게는 해수면 변동으로 본 한반도 홀로세(Holocene) 기후변화를 추천해드리겠습니다. 

논문 리뷰 보러가기 : https://www.notion.so/naioth/1-0727144a404448ef87cb35ecfdeee443?pvs=4

이 논문에서는 한반도의 기후가 그동안 어떻게 변해왔는지, 그리고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이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알려주고 있습니다.

---


연구산악대 입장하기 : https://tally.so/r/3q5V62

프로필 이미지
관리자
2023-02-21
조회 21

오늘의 기사

[속초소식] 음식물처리.자원화시설 준공

https://www.yna.co.kr/view/AKR20230214095500062?section=society/environment


강원 속초시에 하수처리사업소 음식물처리시설 민간투자사업이 최근에 준공되었습니다. 


이 사업은 노후화된 처리시설과 악취 발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민간 사업자에 의해 추진되었습니다. 이 사업으로 인해 음식물쓰레기의 신속하고 안정적인 처리, 처리공정 복개, 탈취설비 보강을 통한 악취 문제 제거 그리고 버려지는 음식물과 하수슬러지 폐자원의 재이용 등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음식물쓰레기가 왜 심각한 환경문제이며 어떻게 기후위기와 연관되어 있는지 궁금하신 분들에게는 Food waste matters - A systematic review of household food waste practices and their policy implications를 추천해드리겠습니다. 

논문 리뷰 보러가기 : https://www.notion.so/naioth/9f5a9f62dd244e6983649d4aa409ae33?pvs=4 

이 논문은 가정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가 어떻게 기후변화에 기여하는지부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져가야 하는 정책적 접근방식까지 다루고 있습니다.


가정에서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할 때 사용자가 느끼는 Pain Point를 분석한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가정에서의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에 대한 사용자 경험 연구를 확인해 보시는 걸 추천해 드립니다. 

논문 리뷰 보러가기 : https://www.notion.so/naioth/PAIN-Point-dd084c9943614654973ccec491f6bf9b?pvs=4

이 논문은 음식물쓰레기 처리방법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부터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방법을 왜 도입하게 되었는지 설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음식물쓰레기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 궁금하시다면, 음식물쓰레기 자원화를 위한 적정처리 방법과 발생량 최소화 방안에 관한 연구: 단계별 관리를 중심으로를 추천해 드리겠습니다. 

논문 리뷰 보러가기 : https://www.notion.so/naioth/7b9473ab3640404cb2befd2578245324?pvs=4

이 논문은 구매/생산 단계, 소비단계 그리고 배출단계 모든 과정에서 음식물쓰레기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


연구산악대 입장하기 : https://tally.so/r/3q5V62

프로필 이미지
관리자
2023-02-14
조회 15

오늘의 기사

뉴질랜드 오클랜드, 폭우.홍수 사태 고비 넘겨

https://m.yna.co.kr/view/AKR20230201089900009 



뉴질랜드의 최대 도시인 오클랜드가 일주일 동안 쏟아진 폭우로 인해 주민들이 큰 홍수 피해를 보게 되었습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닷새 사이에 400mm가 넘는 엄청난 양의 비가 내렸습니다.

주민들은 집이 침수되거나 도로 통행이 차단되는 피해를 겪어야 했으며, 몇몇 지역에서는 산사태로 집이 무너져 인명피해가 나기도 했습니다.


작년 8월에는 서울에서도 이처럼 이례적인 수준의 폭우가 있었습니다. 기후변화는 너무 많은 비를 내려 폭우 위험을 끼칠 수도 있지만 어떨 때는 너무 적은 비를 내려 가뭄 위험 또한 일으킵니다. 기후변화로 인해 한국 도시들의 강우량이 어떻게 변하는지 알고 싶으신 분들은 기후변화에 따른 주요 도시의 연간 최소 확률강우량 추정을 추천해 드리겠습니다.

논문 리뷰 보러가기 : https://www.notion.so/naioth/f8cce52da2af492097645b7e2eeddb43

이 논문은 가뭄 대비의 차원에서 한국 도시들의 최소 확률강우량을 예측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러한 자연재해의 빈도수나 세기가 기후변화에 어떻게 영향을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해 알고 싶으신 분들에게는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natural disasters 이 논문을 추천해 드리겠습니다.

논문 리뷰 보러가기 : https://www.notion.so/naioth/f5a37e12712246b6ab79efb1f1bbfc56

이 논문은 그동안의 이상 기후 현상들의 추세를 분석하며 기후변화가 폭우, 태풍, 가뭄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입니다.


홍수, 가뭄 등과 같은 재해로부터 회복력을 갖춘 도시가 되려면 각 재해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이와 관련된 논문을 읽어보고 싶으신 분들에게는 도시 리질리언스 향상을 위한 재해별 그린인프라 유형 고찰 이 논문을 추천해 드리겠습니다.

논문 리뷰 보러가기 : https://www.notion.so/naioth/32d9b09ff11d4c889ca31eb185c4a1da

이 논문은 도시 리질리언스 향상을 위한 그린 인프라의 개념 정의, 유형 분류 그리고 활용 방안까지 자세하게 담고 있습니다.

---


연구산악대 입장하기 : https://tally.so/r/3q5V62





프로필 이미지
관리자
2023-02-14
조회 13

오늘의 기사

기후위기시계, 부산에도 설치…국내 세번째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21229000398



지구의 평균 온도가 1.5도씨 상승할 때까지 인류에게 남은 시간을 경고하는 ‘기후위기시계’가 지난달 말 부산시민공원에 설치되었습니다. 이는 용산구 헤럴드스퀘어, 전주시에 이어 국내에 비치된 세 번째 기후위기시계입니다. 


이근희 부산시 환경물정책실장은 “이번 기후위기시계 설치를 계기로 부산시가 앞으로도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홍보 캠페인 등을 지속적으로 이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기후위기시계는 미국의 환경운동가이자 예술가인 간 골란(Gan Golan)이 1.5도씨 상승 억제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고안한 것입니다. 그가 설립한 글로벌 기후행동단체 클라이밋클락 (Climate Clock)은 IPCC 자료에 근거한 독일 메르카토르 기후변화연구소의 정보를 반영해 1.5도씨 상승까지 남은 시간을 계산하여 계속해서 업데이트합니다.


1.5도씨 상승을 막기 위해 등장한 국가별 온실가스 감축목표 정책에 대한 평가를 읽어보고 싶으신 분들에게는 하향식 감축분담을 통한 국가별 2030 및 2050 온실가스 감축목표 평가를 추천해 드립니다. 

논문 리뷰 보러가기 : https://www.notion.so/naioth/2030-2050-bb61205741ee43fd85f117c8e90254aa

이 논문은 한국을 비롯한 국가들의 NDC(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가 2도씨, 1.5도씨 상승 억제 목표에 부합한지 아닌지를 분석한 후 이에 대한 정책 제언을 담고 있습니다.


그러나 목표를 무작정 높게 설정하는 것 또한 좋은 방법만은 아닙니다. ‘2050 탄소중립 대한민국’의 현실 가능성에 대해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싶으신 분들에게는 파리협정 목표에 따른 한국의 온실가스 배출허용량과 총량제한 배출경로 연구를 읽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논문 리뷰 보러가기 : https://www.notion.so/naioth/2030-NDC-2050-74b1c7e2da134cefb7ff5b1c55a3cdf6

이 논문에서는 파리 협정의 목표 달성을 위해 한국이 따라야 하는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의 적정성을 비판적으로 바라본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국가들의 NDC를 파리 협정 목표 달성 가능성에 빗대어 평가한 내용을 보고 싶은 분들에게는 National ‘fair shares’ in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within the principled framework of international environmental law를 읽어보시는 것을 추천해 드리겠습니다. 

논문 리뷰 보러가기 : https://www.notion.so/naioth/COP26-f792152c998740b5be8f34c259aef566

이 논문은 국가들의 온실가스 감축 책임에 대한 생각이 어떻게 다르며, 이것이 국제환경법과 파리 협정의 차원에서 보았을 때 1.5도 목표 달성에 부합한지 아닌지를 평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


연구산악대 입장하기 : https://tally.so/r/3q5V62

프로필 이미지
관리자
2023-01-24
조회 15

오늘의 기사

풍력발전기가 돌고래 터전을 해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https://www.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1076045.html 


풍력발전단지의 건설 예정지가 멸종위기종의 서식지라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노력과 자연보전이 충돌하는 상황을 ‘녹녹갈등’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갈등의 본질에 대해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이들도 존재합니다. 

녹색연합의 기후에너지 황인철 팀장은

“녹녹갈등으로 보이는 것이 실상은 ‘성장∙이윤의 논리’와 ‘녹색가치’ 사이의 갈등인 경우가 많습니다. 탄소를 줄이기 위해 모든 것을 희생해도 된다는 사고방식은 ‘기후 파시즘’을 낳을 우려가 있죠.

우리의 목표는 단순히 탄소를 줄이는 것이 아니라 기후위기와 생태위기를 낳은 지금의 문명을 넘어서는 것이어야 합니다. 기후위기의 시급성을 강조하며 속전속결을 강조하지만, 민주주의를 통한 사람들의 동의와 참여가 없다면 오히려 에너지 전환은 지연되고 성공할 수 없습니다.”

라고 말했습니다.


또한 해당 기사는 기후위기와 생물다양성 감소를 분리할 수 있는 문제로 바라보는 것에 대해 의문을 품어야 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생태계 파괴를 방지하는 활동은 기후변화 완화 활동과 결합되는 경우도 있기에 유엔 산하의 IPCC와 생물다양성과학기구가 2021년 낸 공동보고서에서는 기후위기와 생물다양성 소실을 함께 다뤄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생물다양성과 기후변화의 관계를 다룬 Key Paper를 읽어보고 싶으신 분들에게는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the future of biodiversity를 추천해 드립니다.

논문 리뷰 보러가기 : https://naioth.notion.site/e71f77bb8506436da5383ad09384b10f 

이 논문에서는 생물다양성과 기후변화가 서로에게 미치는 영향 및 대응을 제시하며 이를 분석할 수 있는 다양한 모델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오늘의 기사는 더불어 기후정의의 개념을 인간이 아닌 비인간 대상에도 확대해야 한다는 시선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강의 권리를 인정한 뉴질랜드의 ‘환가누이강법’을 사례로 소개하며 자연이나 동물에게 ‘법인격’을 부여하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인간이 비인간과 관계 맺는 방법을 검토하는 ‘다종민족지 연구’에 대해 알아보고 싶으시다면 다종민족지: 환경 파국 시대의 생물문화적 희망한 민족지적 연구를 추천해 드리겠습니다. 

논문 리뷰 보러가기 : https://naioth.notion.site/929f73ea667f4b4b86789b3537e9a9c4 


환경도서 ‘지구를 위한 변론(강금실 저)’에서도 자연에 법적 주체의 권리를 부여하는 ‘지구법학’에 관해 소개하고 있습니다.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 인간이 지구를 바라보는 시선에 대해 고민해보고 싶으신 분들에게는 이 책을 읽어보시는 걸 추천해 드립니다. 

책 보러가기 : https://www.instagram.com/p/ClyDmfLp1PW/?utm_source=ig_web_copy_link


연구산악대 입장하기 : https://tally.so/r/3q5V62


프로필 이미지
관리자
2023-01-19
조회 13

오늘의 기사

구미시, 69억 원 투입해 수소차, 수소충전소 확충 예정

https://bit.ly/3WhAyWZ


구미시가 수소차와 수소충전소 보급을 늘려 경상북도 내 수소경제의 선도도시로 자리매김할 계획을 밝혔습니다. 


구미시의 김장호 시장은 올해 수소차 및 수소버스 84대를 보급하고 수소 충전소 또한 2곳을 새로 마련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본격적인 수소차 보급사업을 위해 전년 대비 142% 증가한 69억 원을 확보하여 수송 분야 탄소중립을 위해 나아갈 계획입니다.


효과적인 사업의 추진을 위해서는 수소충전소의 입지 선정이 매우 중요합니다. 머신러닝으로 수소충전소의 입지를 선정하는 방법이 궁금하시다면 머신러닝 기반 고속도로 내 수소충전소 최적입지 선정 연구를 추천해 드리겠습니다. 이 논문에서는 수소충전소의 최적 입지 선정 문제에 관한 선행연구를 소개하고 있으며 머신러닝을 활용한 수소충전소 입지 선정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논문 리뷰 보러가기 : https://naioth.notion.site/458910f0b29641aaa4a1c0b609dcd418


수소 인프라와 수소경제의 실질적인 전략에 대해 알아보고 싶으시다면 글로벌 수소 전략 수립 동향을 추천해 드리겠습니다. 이 보고서에서는 국가별 수소경제 구축 현황 및 넘어야 하는 과제를 살피고 있으며 수소 인프라의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변화를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보고서 리뷰 보러가기 : https://naioth.notion.site/639d1255c1de4913b3a970acdaaa2f0f


마지막으로 수송부문의 2050 탄소중립의 맥락에서 수소차와 수소충전소의 역할 및 의의가 궁금하시다면 2050 수송부문 탄소중립 쟁점과 대응방향을 추천해 드리겠습니다. 이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수송부문 탄소중립의 쟁점 및 구체적인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논문 리뷰 보러가기 : https://naioth.notion.site/1139fc5231804746872c2e9afaab8948


연구산악대 입장하기 : https://tally.so/r/3q5V62

프로필 이미지
관리자
2023-01-19
조회 12

오늘의 기사

경남도, 기후위기 대응 인식교육을 통한 2050 탄소중립 실행력 강화

http://www.vision21.kr/news/article.html?no=232312 


지난달 14일부터 15일, 경상남도 탄소중립지원센터는 도내 공무원을 대상으로 ‘기후위기 대응 인식교육’을 실시했습니다. 

기후위기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탄소중립의 주요 정책 등에 대한 공무원 이해도를 향상시켜, 2050 탄소중립 실현 가능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또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탄소중립에 대한 이해와 탄소중립 실천 의식 함양을 목표하는 ‘탄소중립 기후학교’도 운영했습니다. 


이렇듯 기후위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후위기 교육이 매우 중요합니다. 우리나라의 기후 변화 교육이 어떤 방향성을 가져야 하는지 고민해보고 싶은 분들에게는 우리나라 기후 변화 교육의 방향에 관한 고찰을 추천해 드리겠습니다. 비록 2010년 자료라 지금과는 다소 동떨어진 부분들이 있을 수도 있지만, 기후위기 교육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계신 분들이라면 입문 논문으로 가볍게 살펴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논문 리뷰 보러가기 : https://naioth.notion.site/7a7cc370c189480fade5404aabb36deb


기후위기 교육의 실제 실행 사례를 살펴보고 싶으신 분들에게는 지속가능발전 도시를 위한 청소년 기후감수성 향상 프로그램 개발을 추천해드리겠습니다. 이 논문은 청소년의 기후감수성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이를 시범 운영하여 그 효과를 평가한 것입니다. 기후위기 교육이 가지는 의의와 기후위기 교육 설계 방법에 대해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논문 리뷰 보러가기 : https://naioth.notion.site/539892b9d4bb486ea0c9ecdcf7fb8f41


마지막으로 기후위기 교육에 관한 해외 현황을 살펴보고 싶으신 분들에게는 독일의 기후 변화에 따른 생태·환경교육 현황을 추천해드리겠습니다. 이 논문에서는 독일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교육 (BNE)’을 어떻게 일반 교과목에 구조적으로 포함시킬 수 있을지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논문 리뷰 보러가기 : https://naioth.notion.site/a18e30d566624304893283f3558a4791


연구산악대 입장하기 : https://tally.so/r/3q5V62

프로필 이미지
관리자
2023-01-19
조회 16

오늘의 기사 

[초점] 에너지전환과 에너지안보

https://www.energy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3725 


국제에너지기구(IEA)가 에너지 안보를 위해 세계 에너지전환의 10대 과제를 제시하였습니다. 

오늘 기사에서는 그 내용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우선 에너지 안보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공급원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기후위기로 인해 기상 이변은 더욱 빈번해지고 있으며 기후 관련 재해로 인해 에너지 인프라가 리스크에 처할 가능성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더불어 태양이나 바람 등에 의존하는 재생에너지원은 크게 변동하는 기후 속에서 안정성을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건조지역의 물 부족 현상은 화력발전소의 냉각 시스템에 지장을 줄 수 있습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각국 정부는 에너지 시스템이 기상 이변에 따른 부정적 영향으로부터 회복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 합니다. 신뢰할 수 있는 기후 및 날씨 데이터의 공개를 통해 에너지 공급자가 잠재적인 기후 위험에 예비할 수 있도록 도우며, 적합한 규제와 재정적 지원을 통해 탄력적 조치에 대한 민간 투자 또한 유도해야 합니다. 또한 에너지 기술의 제고 및 인프라 강화를 통해 기후 리스크를 줄일 수 있지만, 가장 필수적이고 강력한 대응 방안은 온실가스 배출의 저감입니다.


에너지 안보의 보장뿐만 아니라 에너지 전환의 전략적 방향성을 수립하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합니다. 에너지 전환은 각국의 정부가 선도해야 하지만 민간자본과 시장의 역할 또한 무시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부는 민간 주체들이 각자의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도록 강력한 인센티브를 제공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는 에너지 전환을 방해하는 요인(긴 허가 과정, 불필요한 무역 장벽, 비효율적 화석연료 보조금 등)을 제거하는 것과 재생에너지 기술의 경쟁력을 제고하는 등의 방안이 있습니다.


성공적인 에너지 전환을 위해서는 현재의 에너지 산업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우리나라의 전력 산업 구조에 대해 알아보고 싶으신 분들에게는 에너지 전환에 대비하는 한국형 전력산업구조의 탐색을 추천해 드립니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 전력산업의 구조개편 역사를 검토하고 현재 우리나라의 전력시장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논문 리뷰 보러가기 : https://naioth.notion.site/89c3808ca56141bc986825ae279b64f7


에너지 전환에 대한 보다 더 개괄적인 이야기가 궁금하신 분들에게는 기후위기는 에너지 전환으로 극복하자를 추천해 드리겠습니다. 이 논문을 통해서는 에너지 전환과 그와 관련된 개념 (RE100 등)에 대해 전반적인 배경을 얻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논문 리뷰 보러가기 : https://naioth.notion.site/8d94a7fa99594f089bd34a29cc0f1393


에너지 전환 방법의 실제 사례에 관해 더 깊이 알아보고 싶으신 분들에게는 에너지전환 실험의 장으로서 한국 리빙랩의 경험 – 성대골의 도시지역 미니태양광 사례를 중심으로를 추천해 드리겠습니다. 이 논문에서는 2016~2017년 서울 성대골의 도시지역 미니태양광 리빙랩 활동을 통해 에너지 전환 정책의 진행 과정에서 마주치게 된 이해관계, 제약 및 성과를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논문 리뷰 보러가기 : https://naioth.notion.site/ba70adb08117473e8e0e00556a569e05


연구산악대 입장하기 : https://tally.so/r/3q5V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