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주일에 논문 한 편 읽고
연구동향 함께 살펴봐요!
연구동향 함께 살펴봐요!



논문을 찾을 때 막막함을 느끼는
것은 당연합니다.
것은 당연합니다.
무작정 키워드 검색으로 내 연구주제와 관련된 논문을 찾아보지만 나에게 정말로 필요한 논문을 발견하는 것은 복불복에 가깝습니다. 동시에 내가 읽게 되는 논문이 학계의 중심된 이야기를 하고 있는건지, 편향된 성향을 갖고 있는건지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이는 논문에 대한 ‘전체 지도’가 없기 때문에 벌어지는 일입니다.
연구자에게는 ‘연구지도’가
필요합니다.
필요합니다.
모든 연구에는 선행연구가 있습니다. 연구자들은 자신의 논문이 선행연구에서 위치하는 좌표를 표시해둡니다. 이 좌표를 토대로 연구지도를 그리다보면 내 연구주제에 대한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나에게 필요한 핵심논문들이 어디에 있는지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Launch Track 3
에서는
무엇을 배울 수 있나요?
무엇을 배울 수 있나요?

Track 3에서는 논문을 읽는 법과 논문으로부터 관련 선행연구를 찾는 법을 배우고 내 연구주제에 대한 학술동향을 파악합니다. 8주 동안 6편의 논문을 읽으며 내 주제에 관한 핵심지식을 습득한 후
나만의 연구동향보고서
를 작성하면서 나의 연구주제를 구체화합니다.
LAUNCH Track 3를 통해
8주 동안 내 주제에 관한 관련논문들을 맵핑하면서
내 관심의 연구좌표를 추적해보세요!
내 관심의 연구좌표를 추적해보세요!


◉
온라인 VOD 학습가이드 + 미션 + 줌 라이브 세미나 8회
◉ 매주 진행되는 줌 라이브 세션 + 즉각적인 피드백 공유
◉ 차시마다 제공되는 미션가이드
◉ 매주 진행되는 줌 라이브 세션 + 즉각적인 피드백 공유
◉ 차시마다 제공되는 미션가이드




체계적인 학습 루틴
연구의 기초를 설명해 주는 강의 영상과 학습 가이드를 활용해
일주일 동안 미션을 수행한 후 나의 블로그에 업로드 합니다.
100% 온라인, 언제 어디서나
매주 화요일 오후 10시 ~ 11시 반, ZOOM 세미나를 통해 함께하는
동료들과 연구 현황을 공유하고 피드백을 나눕니다.
트랙을 이수하고 나면



나의 연구주제에 맞는 선행연구
를 찾지 못해 막막하신 분
혼자 논문을 찾고 읽고 정리 하기 어려우신 분
자신의 연구주제에 관한 전문지식 을 얻고 싶으신 분
나만의 선행연구리스트와 연구지도 를 만들고 싶으신 분
혼자 논문을 찾고 읽고 정리 하기 어려우신 분
자신의 연구주제에 관한 전문지식 을 얻고 싶으신 분
나만의 선행연구리스트와 연구지도 를 만들고 싶으신 분



연구에 대한 배경이 없어도 수강할 수 있나요?
당연히 가능합니다.
연구원정 프로그램은 연구를 전혀 접해보지 않으신 분들도 자신의
문제의식을 연구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프로그램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실제 학부생부터 중년층까지 다양한 배경의 대원들이
프로그램을 수료하셨습니다. 하지만 그것이 결코 연구가 쉽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연구를 해 나가기 위해서는 그만큼의 의지와
노력이 필요합니다.
일주일에 어느 정도의 시간을 써야 하나요?
LAUNCH 프로그램은 연구계획 과정의 프로세스를 배우는
과정입니다. 각 단계마다 시간을 많이 들이면 많이 들일수록 더
구체화되고 정교한 연구계획을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소한
매일 1-2시간 (세미나 시간 제외) 정도의 시간을 투자
하셔야 과정을 충분히 학습하실 수 있습니다.
기수당 어느 정도의 인원으로 진행되나요?
기수별 인원의 제한은 없습니다
.
주차별 영상과 미션은 온라인으로 제공되고 미션은 개별적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기수별 인원에 상관없이 필요한 활동들을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비대면 세미나의 경우, 원활한
운영을 위해
10명 내외의
조를 편성하여 조별로 과제공유와 피드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진행될 예정입니다.
중도에 포기하면 불이익이 있나요?
과정 중 중도에 하차하시게 될 경우, 일부 위약금이 발생하게
됩니다. 다만, 이후
재수강하고자 할 때 받게 되는 불이익은 따로 없습니다.
상황과 의지가 다시 생기셨다면, 언제든 다시 시작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