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LAUNCH Conference
home
연구발표 라인업
home

시니어층이 디지털 기술로 인해 불편함을 겪지 않으려면

연구 소개

우리 사회가 고령화되면서, 많은 어르신들이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어요. 스마트폰이나 인터넷을 잘 못 다루면 중요한 정보에서 소외되거나 사회와 단절되는 느낌을 받을 수 있죠. 특히 경제적 여건이나 교육 기회가 부족했던 저소득층, 저학력층, 여성 어르신들이 더 큰 어려움을 겪고 있어요.
이번 연구는 이러한 어르신들을 위해 쉽게 배울 수 있는 디지털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고자 해요. 어르신들이 직접 참여하는 워크숍을 통해, 그들이 실제로 필요로 하는 내용을 교육 과정에 반영할 거예요. 이를 통해 어르신들이 자신감을 갖고 디지털 기술을 익힐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이에요.
이 연구를 통해 어르신들이 디지털 기술을 더 쉽게 접하고, 사회와 더 활발히 소통하며,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자 해요. 또한, 모두가 함께 누릴 수 있는 배려가 결국 사회 전체의 불평등을 줄이는 데 큰 도움이 될 거라고 기대하고 있어요.

김소연 대원님은

김소연 대원님은 정말 개인적인 이유에서 연구를 시작하게 되셨다고 해요. 소연 님은 어머니가 디지털 기술을 더 쉽게 활용하길 바랐지만, 실제로는 많은 기능이 젊은층 중심으로 설계되어 있다는 점을 깨닫고 문제의식을 가지게 되셨어요. 예를 들어, 검색 아이콘으로 자주 쓰이는 돋보기가 처음 접하는 사람들에게는 직관적이지 않을 수 있다는 점처럼요.
처음에는 노년층을 위한 디자인을 연구하려 했지만, 점차 디지털 교육으로 관심이 확장되었다고 합니. 어릴 때부터 교육 봉사를 많이 했고, 농어촌에서 자라며 교육 격차를 직접 경험했던 것이 교육의 중요성을 더 깊이 깨닫게 만든 계기였다고 합니다.
소연 님은 디지털 교육이 단순한 기술 습득이 아니라, 노년층의 삶의 질과도 직결된다고 생각해요. 실제 연구에서도 디지털을 적극 활용하는 노년층이 그렇지 않은 노년층보다 삶의 만족도가 높다는 결과가 나왔다고 하구요.
결국, 소연 님은 노년층이 쉽고 편하게 디지털을 배울 수 있는 교육을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했고, 이를 통해 누구나 기술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돕고자 이번 연구를 시작하셨답니다.

연구과정 살펴보기

기대 포인트

소연님은 자신의 전공을 살려서 실제 시니어층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워크숍을 기획하고 있어요. 학계에서 오랜 시간 연구되어 온 시니어 관련 연구와 디지털 리터러시 및 유니버설 디자인 관련된 연구를 다양하게 습득하시면서 그에 최적화된 워크숍을 설계하고 있으세요. 이번 컨퍼런스를 통해 얻게 된 지지와 지원을 바탕으로 올해 중에 실제 워크숍을 진행하실 계획을 하고 있으시다는 점! 잊지 마시고 관심 있으신 분들은 지지와 응원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