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소개
이 연구는 교회 공동체의 정의와 역할을 현대적으로 재조명하고, 현실 속에서 어떻게 실천될 수 있는지를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어요.
연구진은 교회 공동체가 가지는 핵심 요소를 세 가지로 보고 있어요.
1.
예수님의 사랑과 섬김 – 교회가 본래 가지고 있는 나눔과 봉사의 정신
2.
사회적 관계성과 연대 – 교인들 간의 유대감과 협력
3.
심리적 위로 – 신앙을 통한 정서적 안정과 치유
이 연구에서는 교회 공동체가 이러한 요소를 통해 일반적인 사회 공동체와 차별화된 정체성을 형성한다고 보고 있어요. 동시에, 디지털 시대와 소규모 교회가 가진 한계를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지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려고 해요.
이를 위해 문헌 연구와 웹크롤링을 활용하여 이론적 기반과 사례를 분석하고,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교회의 규모와 가치가 공동체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려고 해요. 연구 결과를 통해, 다양한 교회의 사례를 살펴보며 현대적 맥락에서 교회 공동체의 역할이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분석해요.
특히, 연구진은 디지털 플랫폼 활용 및 지역사회와의 협력 가능성에 주목했어요. 온라인 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 신앙 공동체를 확장할 수 있고, 지역사회와 협력하면 보다 지속 가능한 교회 공동체 모델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요.
결국, 이 연구는 교회가 신앙적 본질을 유지하면서도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는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기여하고자 해요. 현대 사회에서 교회 공동체가 어떻게 의미 있게 자리 잡을 수 있을지 고민하는 분들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연구라고 할 수 있어요.
고은영 대원님은
고은영 대원님은 "왜 우리는 교회를 가는 걸까?"라는 질문에서 연구를 시작했어요. 단순한 신앙적 고민이 아니라, 종교가 정치, 문화, 사회, 철학 등 우리의 삶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인식하며 이 질문을 깊이 탐구하고자 했어요.
특히, 한국 사회에서 종교 인구가 빠르게 감소하고 있는 현상에 주목했어요. 이러한 변화 속에서, 교회의 의미는 어떻게 변하고 있을까? 사람들이 교회를 찾는 이유는 무엇일까?라는 질문이 자연스럽게 이어졌다고 해요.
하지만 이 연구는 단순히 교회의 위기나 문제점을 지적하려는 것이 아니에요. 교회의 관료주의나 권위주의를 비판하거나, 반대로 교회를 옹호하려는 것도 아니에요. 오히려, ‘교회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가진 사람들, 즉 우리 자신을 탐색하고, 우리가 가진 교회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살펴보려는 연구라고 할 수 있어요.
연구과정 살펴보기
기대포인트
고은영 대원님은 사실 이공계열에서 이미 연구역량이 있으신 연구자세요. 하지만 이번 연구원정 부트캠프에서는 ‘교회’라는 화두를 가지고 전혀 새로운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하기로 결심하셨죠. 내부자의 관점에서 시작하는 연구이지만 동시에 ‘교회’라는 공동체가 가지고 있는 잠재력과 가능성을 어떻게 대중적인 언어로 설명할 수 있을지, 더 나아가 그 잠재력을 어떻게 찾을 수 있을지에 대해서 계속해서 분투하고 계세요. 은영님의 연구는 신앙을 가진 사람뿐만 아니라, 종교의 사회적 의미에 대해 궁금한 모든 이들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에요. 고은영 대원님의 연구가 교회의 본질과 현대적 의미를 새롭게 바라보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하며, 교회와 종교의 의미에 대해 궁금하신 연구자분들이시라면 고은영 대원님의 연구를 지지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