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청하기
home
프로그램 사전알림신청
home

젠더와 사회학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기후변화 적응

선택한 이유

사회학적 관점, 더 구체적으로는 젠더의 관점에서 기후변화 적응 정책의 흐름을 살펴보고자 선택하였습니다.

요약

"농촌 여성(rural women)"을 하나의 집단으로 뭉뚱그려 바라보고 취약성을 설정하는 시각이 있어왔는데, 이는 경제역량, 교육 수준, 장애/비장애, 성적 지향, 민족성, 인종 등 개인의 다양한 정체성이 교차하며 나타나는 다층적이고도 구조적인 다양한 집단과 개인의 특성을 간과한다. 이는 결국 기후변화 대응의 방향성 수립 실패로 이어진다. 본 논문은 특히 다양한 문헌을 검토하며 각기 다른 집단과 개인 간의 차이가 어떻게 사회적으로 구성되었고, 맥락(context)마다 다르게 발현되며 궁극적으로는 그때문에 기후변화의 영향을 각기 다르게 받는다는 것을 강조한다.
Insurgent Vulnerability: 위와 같은 취약성의 이분법적 체계를 거부하고자 Alaimo(2012)가 제시한 개념으로, 생물다양성, 문화, 젠더적 다양성을 포괄하여 취약성의 컨셉을 재정의(reconceptualization)하였다. 이 개념은 농촌지역 기후변화 대응에서 나이, 토지소유권, 언어, 토착상태, 인종 등 개인이 가진 다양한 맥락(context)을 강조한다.

추천이유(비추천이유)

농업 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을 사회학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시각, 또는 기후변화를 젠더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시각을 제공해 주는 이정표가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더 알아보고 싶은 내용

참고문헌 속 읽어보고 싶은 논문

Alaimo, S. (2009). Insurgent vulnerability and the carbon footprint of gender. Kvinder, Køn Amp; Forskning, (3-4). Davis, K. (2008). Intersectionality as buzzword: A sociology of science perspective on what makes a feminist theory successful. Feminist Theory, 9(1), 67-85. Djoudi, H., Locatelli, B., & Vaast, C. (2016). Beyond dichotomies: Gender and intersecting inequalities in climate change studies. Ambio 45, 248–262. Wrigley-Asante, C., Owusu, K., Egyir, I. S., & Owiyo, T. M. (2017). Gender dimensions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practices: The experiences of smallholder crop farmers in the transition zone of Ghana. Afr. Geogr. Rev., 1-14.

용어 설명

교차성: 서로 다른 억압과 지배의 시스템이 각각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 교차하고 결합하여 구조화된 억압체제를 이룬다는 것으로 각 개인이 처한 억압과 지배의 국면이 다층적이고 다면적임을 함의한다. (젠더와 결합한 계급, 인종, 국적, 종족, 종교, 연령 등이 복합적으로 여성의 위치와 정체성을 규정한다는 메시지를 던짐으로써 여러 다른 위치에 있는 여성들 간의 차이를 이해하는 데 유용한 개념적 도구가 됨)

기타 추가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