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청하기
home
프로그램 사전알림신청
home

유럽 환경 정책이

선택한 이유

나의 연구 주제에서 "국내 정책의 장기적 방향성 부재로 지속가능공시 정착에 어려움이 있다"를 풀어나가기 위해서 정책에 장기성을 가지고 정책 입안을 풀어가는 유럽을 살펴보고 왜 그들은 가능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요약

본 논문을 보면서 유럽이 한 아젠다에 관련하여 얼마나 많은 논의 및 연구를 통해 정책 입안 근거를 만들어내고, 프로세스 및 시스템을 구축하고, 정책을 단계적으로 도입하며, 규제를 이행하는지 단편적으로 알아볼 수 있었다. 또한 장기 계획 및 전략을 이미 수년, 아니 몇 십년 전 설정하여 국제 정세 및 연구에 따라 계획을 수정하고 또 수정하는 과정을 통해 보다 정밀한 법을 만들어냄을 보고 놀라웠다. 우리나라는 아무래도 정권에 따라 정책이 달라지다보니 한 아젠다에 관련한 연구자들 및 기술자들이 긴 모멘텀을 가지고 끌고 가기는 역부족이다. 정권에 따라 지원 및 규제가 급변하기 때문이다. 또한 유럽연합 법안은 한 국가가 아닌 여러 국가가 적용되는데 큰 방향성을 가지고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해 뜻을 함께한다는 것이 대단하다는 생각이 든다(물론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유럽도 정권 싸움이 치열하겠지마는). 또 한가지 궁금한 점이 생긴 부분은 유럽 정책 입안자들은 학술적 연구를 정책 입안의 근거로 활용한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이부분도 확인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추천이유(비추천이유)

논문 자체로서의 리뷰는 순환경제 관련 유럽 환경 정책을 잘 정리해놓았기 때문에, 실증 자료로 참고하기 좋을 것 같다. 다만 논문의 분석 방법이 두가지 1) 유럽 환경 정책 분석, 2) 관련 선행 논문 분석 이었는데, 두번째 선행 논문 분석의 연구 방법은 선행연구를 키워드로만 분석하고 그 내용 및 세부 내용에 대한 분석 결과는 없어서 아쉬운 부분이 있었다. 추린 24개의 선행 연구의 세부 내용을 분석하여 카테고리로 구분 및 내용 분석까지 했으면 더욱 좋았을 것 같다.

더 알아보고 싶은 내용

추후 선행연구로는 유럽 그린 딜과 같은 대형 유럽 환경 정책의 기조를 살펴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참고문헌 속 읽어보고 싶은 논문

Sakai, S. I., Yoshida, H., Hirai, Y., Asari, M., Takigami, H., Takahashi, S., ... & Chi, N. K. (2011).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f 3R and waste management policy developments. Journal of material cycles and waste management, 13, 86-102.

용어 설명

기타 추가내용

유럽 CBAM이 도입되면서 국내 기업이 당장 CBAM 인증서 구입 및 제출의 의무는 없지만, 앞으로 분기별로 탄소배출량에 대한 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또한 전환기 동안 합리적인 근거를 기준으로 제품별 탄소량을 산출하는 시스템 및 프로세스를 구축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