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한 이유
논문을 찾는 과정에 있어 최신 논문을 위주로 찾아보려고 했다. 내가 찾은 최근 논문들 중에 거의 다 짧게 적힌 1~2페이지의 논문이 많았고 또, 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지 않은 논문들이었다. 선택한 논문이 2014년 논문이지만, Start Paper 조건에 충족하여 좋다는 생각이 들어 읽게 되었다!
요약
1.
서론
엘니뇨는 적도 태평야의 해수면 온도가 상승하는 현상으로서, 해수면 온도뿐만 아니라 전지구 기후시스템의 변동을 유발하는 지구상 갖아 주요한 기후 현상.
전형적인 엘니뇨와 다르게 중태평양 해수면온도 아노말리가 동태평양보다 더 강한 구조를 보이는 형태로 빈번히 발생.
한반도의 경우 온도와 강수 아노말리가 엘니뇨의 영향을 받음. 두 가지 형태의 엘니뇨에 대한 한반도 기후변동성이 다름
2.
자료 및 방법
한반도 기후에 대한 영향성을 종합적이고 정량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한반도 기후영향지수를 정의. 영향지수가 클수록 한반도 기후와의 연관성을 잘 설명한다고 볼 수 있음
3.
선행 연구의 정의에 따른 한반도 기후 변동성 4. 엘니뇨정의 영역 변경에 따른 한반도 기후영향 민감도 조사
선행 연구들 중 Kug et al. (2009)의 방법에 대한 영향지수가 11.42로 가장 높게 나왔다.
선행 연구로 본 동태평양 엘니뇨, 중태평양 엘니뇨의 한반도 기후 변동성을 살펴본 다음 4에서는 엘니뇨 정의 영역을 변경하여 한반도 기후영향 민감도를 조사하였다.
4.
두가지 형태의 엘니뇨에 대한 전지구 기후변동성 합성도
선행연구와 본 연구의 정의에 따라 전지구 기후변동성에 대해 보았으며 양/음 아노말리가 발생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현상에 대한 설명이 잘 나타나 있다.
5.
요약 및 제언
한반도 기후와 상관성을 잘 표현하는 정의방법은 이 집단의 엘니뇨 해를 두 형태의 엘니뇨 중 어떤 집단에 포함시킬 것인지를 결정함으로써 찾게 된다고 할 수 있다. 다양한 엘니뇨의 정의를 모두 고려해볼 필요가 있으며, 연구자의 기호에 따라 앙상블평균이나 영향지수가 높은 방법을 취사 선택하는 등의 방법을 취하길 제언한다. 통계 표본수의 한계로 인한 많은 한계를 보안하기 위해서는 원격 상관을 역학적으로 이해하여 통계적 관련성을 뒷받침하는 과정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 또한 기후 모형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제안된 관측자료의 결과를 뒷받침하는 과정도 반드시 필요할 것이다.
추천이유(비추천이유)
쉽고 간결하게 잘 정리가 되어 친절히 다 설명되어 있어 이해하기 쉬워서 재밌었다. 물론 관심분야여서 그럴지도 모른다. 선행연구 하나를 선택하게 된 과정, 그 선행연구와 정의 영역 변경한 해당 논문의 연구에서의 한반도 기후영향 민감도 조사를 비교, 어떤 현상으로 인해 두 가지 엘니뇨가 나타나는지에 대한 설명도 잘 나타나있어 재밌게 읽으실 수 있으실 것입니다!
더 알아보고 싶은 내용
읽다가 기억에 남는 부분은 ‘통계 표본수가 적다는 한계’였다. 내 연구에 엘니뇨 통계 표본수가 적은 점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궁금한데 알아야 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
참고문헌 속 읽어보고 싶은 논문
Kug, J.-S., F.-F. Jin, and S.-I. An, 2009: Two types of ElNiño events: Cold tongue El Niño and warm pool ElNiño. J. Climate, 22, 1499-1515.
용어 설명
아노말리: 기후 평균 편차
서안 경계류지역: 대양의 서안에서 나타나는 강대한 대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