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한 이유
수도권-비수도권 지역 청소년들의 경험의 격차, 기회의 격차에 대한 연구를 위해 관련 SLR을 찾는 과정에서 교육학 내 교육격차에 주목한 SLR을 찾아 읽게 되었습니다. 교육격차의 의미와 요인, 연구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이해해볼 수 있을 것 같아 선택했습니다!
요약
Ⅰ. 연구주제 및 연구대상 :
한국의 교육격차 논의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2000년대 이후 한국의 학업성취 면에서의 교육격차의 실증연구들을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분석을 진행함.
Ⅱ. 연구동향 :
한국의 교육격차는 사교육 참여,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거주 지역, 부모의 자녀교육 관심과 관여, 학교 특성, 다문화 가정, 교육재정 배분의 차이 등 8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하고 있었음.
Ⅲ. 핵심개념 및 핵심논문 :
•
본 논문은 교육격차를 "학교환경의 차이, 지역 환경의 차이, 사교육을 받는 정도의 차이, 학부모 지원의 차이, 학업성취의 차이 등 교육과 관련된 여러 형태의 차이"를 담고 있는 용어로 보았음.
그리고 지금까지 학문적을 교육격차를 확인하고 접근하는데 있어 학업성취 결과 분석을 위주로 접근해옴.
•
연구들의 공동점은 교육격차의 원인을 학생의 가정배경인 SES 차이와 거주지 차이임을 입중해 보이고 있음. (학업성취 면에서 교육격차가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 사교육 참여정도, 부모의 교육적 기대 및 지원 차이가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음.)
•
그러나 학교의 교육풍토나 학교 내 사회적 자본(예, 교사-학생의 관계) 차이가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의한 교육격차를 감소하는 데 어느 정도 기여한다는 사실을 통해, 우리나라 학교교육에서 학교가 학생의 교육격차를 해소하는 데 처방적 기능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반증해주고 있음.
•
한편, 도농 간의 교육격차는 부모 소득이나 가정배경 변인 또는 학교특성 요인을 통제하는 경우 그 격차가 사라지는 결과가 나타나거나 지역에 따른 교육격차가 초중교에서는 미약하였으나 고등학교로 올라갈 때 심화되기도 하기에, 단순히 학생의 거주지(도농 등)의 문제가 아니라는 점을 인지하여야 함.
Ⅳ. 한계 :
•
현행 연구 논문들이 구체적으로 교육격차가 어떻게 또는 어느 정도 발생 하고 있는지를 드러내기 보다, 단지 학업성취에 어떠한 요인이 어떻게 어느 정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데 초점을 두었다는 점.
•
교육격차는 교육기회의 격차, 교유이 이루어지는 조건과 과정에서의 격차, 교육을 통해 얻어지는 결과의 격차 등을 포괄하는 개념이지만, 교육격차에 관한 논의는 주로 결과의 격차, 즉 학업성취 격차에 집중되어 왔음.
Ⅵ. 리뷰 :
한국 사회에서 연구되고 논의되어왔던 교육격차 주제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각 연구들의 결과를 깔끔하게 정리하였다. 그러나 해당 논문만을 보았을 때는 저자의 문제의식이 뚜렷하게 보이지는 않는 것 같았음..!
추천이유(비추천이유)
한국의 '교육격차' 연구에 대해 전반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더 알아보고 싶은 내용
교육격차 발생에 대한 이론적 관점 중, 사회적/문화적 자본 관점에서 분석한 내용을 조금 더 살펴본다면, 경험과 기회라는 학업성취로서 나타날 수 없는 요인들을 조금 더 들여다볼 수 있을 것 같다.
("구체적으로 개인의 체화된 문화자본, 즉 개인의 성향, 자질, 사고 및 행동방식과 같은 문화자본은 개인이 오랜 시간 동안 경험과 학습을 통해 습득하기 때문에, 학교교육 기간 등 개인이 성장과정에서 어떤 문화적 경험을 갖는가에 따라 소유하는 자본의 양과 질에서 차이가 난다는 점이다.")
참고문헌 속 읽어보고 싶은 논문
김경근(2005). 한국사회 교육격차의 실태 및 결정요인. 교육사회학연구, 15(3), 1-27.
박성호(2012). 도농 간 중학생 학력격차 감소에 미치는 학교교육의 영향. 교육사회학연구,
22(1), 77-108.
백병부, 김정숙(2014). 학교내 사회자본이 학업성취 격차에 미치는 영향. 교육학연구,
52(1), 221-249.
변수용, 김경근(2008). 부모의 교육적 관여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가정배경의 영향을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18(1), 39-66.
용어 설명
•
교육격차와 교육불평등 용어의 차이 :
"교육격차와 유사 어휘들 간에 구체적인 의미 차이는 그 개념에 가치(value)가 내포되어 있느냐 여부에 따라 구분되기도 한다. 즉, 교육격차는 단순히 교육기회 및 결과의 차이에 초점을 둔 가치중립적이고 현상적인 개념인 반면, 교육불평등은 교육기회와 결과에 있어 자원의 배분 정도라는 가치와 이념적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는 점에서 서로 차이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