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청하기
home
프로그램 사전알림신청
home

한반도 기후변화에 영향을 주는 원인들을 알고 싶다면 읽어보세요!!

선택한 이유

체계적 문헌 분석을 하기 위해 논문을 찾게 되었습니다. 제가 엘니뇨에 대해서 조시하고 싶어서 키워드는 엘니뇨로 하고 검색했더니 찾은 논문입니다. 아쉽게도 2011년 이후의 기후변화 추세를 보는 SLR이 없어서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요약

1.
서론 IPCC 4차보고서에서 지구온난화는 인간 활동에 의한 온실가스 증가가 주요한 원인임을 시사했다. 이러한 결론은 최근까지 축적된 관측과 기후 모형실험 결과를 토대로 최적지문법과 베이즈 방법 등과 같은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얻어낸 것이다.
2.
기후변화 탐지 방법론의 평가 기후변화 탐지: 어떤 기간에 걸쳐 관측된 기후변화가 있을 때 그 변화의 크기나 정도가 지구기후시스템 내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수준인지 아니며 그를 벗어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 원인규명: 탐지된 기후변화의 원인을 찾아내는 과정
탐지와 원인규명을 위해서는 평가하고자 하는 변수에 대한 관측값, 외부강제력에 대한 모델실험 자료, 내부변동성의 범위가 필요
최적지문법: 다중선형회귀를 기반으로 하여 관측 패턴과 모델 패턴의 관계를 구하는 방법 베이즈 방법: 관측에 대한 모델 지문의 기능도를 직접 추정하고 이를 여러 외부 강제력 간에 비교하여 관측을 가장 잘 설명하는 기후변화 요인을 판단하는 기법 두 기법 모두 "최적화" 과정을 포함. 전구 및 대륙규모의 지표기온 분석에 다양하게 적용.
탐지와 원인규명에서 주의할 점은 모든 외부강제력을 고려하는 것이 불가능. 현재 이용되는 전구기후모델의 공간해상도는 지역 및 국지 규모의 기후현상을 모의하고 연관된 변화 반응을 살펴보기에는 매우 부족하다.
1.
대기와 지표의 변화 수도권의 지속적인 인구증가로 인해 서울 지역 오존농도는 현저한 증가 추세. 한반도의 평균기온은 동아시아 평균보다 높게 증가하는 것으로 측정. 대기환경 변화의 중요한 기후 요소 중 하나가 습도! (도시화와 밀접한 관련성 O) 식생이 기후 변동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
2.
몬순 및 매든-줄리안 진동 동아시아 몬순은 열대, 아열대, 중위도 기상 및 기후에 모든 영향을 주기 때문에 발달과 진행 등의 특징이 매우 복잡하다. 동아시아 여름 몬순의 경년변동의 원인은 복잡하다. (알베도, 필리핀 해 따뜻한 해수면에서 발달하는 심층 대류, 워커순환 등) 해양에 비해 육지의 기온상승폭이 커짐에 따라 대륙-해양 비열차로 인한 여름철 몬순이 더욱 강화되는 양상으로 변할 것이다. 온난화에 따른 저기압성 대기 순환, 증가된 대기 중 수증기함량, 열적 저기압의 발달 등도 대기를 더욱 불안정하게 하며, 이런 모든 요소들이 여름 몬순을 강화시키는데 기여할 것.
3.
엘니뇨와 한반도 기후 동태평양 엘니뇨의 경우 발달 시기인 여름에서 가을철에 걸쳐서 한반도의 한랭한 기후를, 소멸하는 시기인 이듬해 온난한 기후를 유도하는 반면에 중태평양 엘니뇨가 발달하는 여름과 가을철에는 온난한 기후가 나타난다.
4.
극한 날씨 현상 열섬 효과도 극한 날씨 현상 변화에 영향을 줌. 집중호우는 급격히 증가하였고 건조 극한 현상을 보여주는 무 강수 지속일수는 다소 증가하는 것으로 보임. (주로 남부 지역)
5.
도시화 효과 기온 증가 중에서 도시화 효과는 약 32%라고 밝힘 최저기온에서 대도시 기온 증가율이 전체 지역 기온 평균 증가율보다 높고, 최저기온은 계속 증가 경향이 나타남
6.
결론 및 토의 한반도가 대륙과 해양의 경계에 있어 동아시아 몬순지역에 속한다는 지리적 여건과 급속한 경제성장이 유도한 도시화 효과가 온난화를 가중시킨 결과임. 그러나 한반도 지역에서의 기후변화를 탐지하고 그 원인을 규명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

추천이유(비추천이유)

한반도 기후변화, 이상기후가 왜 일어나는지 원인을 찾을 수 있기에 해당 부분에 궁금함을 느낀 적이 있었다면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더 알아보고 싶은 내용

이 논문이 2011년 것이어서 이 논문 뒤로 지역 및 국지 규모 기후변화에 대한 연구가 이뤄졌는지가 궁금하다.

참고문헌 속 읽어보고 싶은 논문

Kug, J. S., et al., 2010, Statistical relationship between two types of El Nino events and climate variation over the Korean peninsula, Asia-Pacific J. Atmos. Sci., 46(4), 467-474.

용어 설명

기타 추가내용